어부의 이득이란 '어부지리' 유래와 글자 한자한자 한자풀이로 알아보도록 하자. 어부지리는 고기잡을 어,지아비 부, 갈 지. 이로울 리. 한자를 쓰며 글자의 뜻으로는 어부의 이득으로 서로가 다투는 사이 제3자가 힘들이지 않고 이득을 챙긴다는 뜻입니다. 어부지리 한자의 유래는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나라가 천하통일을 이루려는 무렵 조나라에서 연나라를 침략할 계쇡을 알고 있던 연나라광이 신하를 보내는데 도요새와 조개가 싸우는 사이 어부가 두마리를 다 잡아버렸다는 비유를 들면서 연나라와 조나라가 싸우면 진나라가 어부가 되어 모두 빼앗지 않겠냐고 설득한 이야기에서 비롯되었다고 한다.'고기잡을 어' 물을 뜻하는 삼수변과 물고이 어가 합친글자. 물속의 물고기글 잡은 일을 뜻 하는 한자이고 '지아비 부' 한 일과 큰 대가 합친글자로 상투를 튼 어엿한 장부를 뜻합니다.'이로울 리' 칼 도 와 벼 화 가 합친 글자로 원래는 칼 도를 말룰로 써서 말물이 쟁기와 흙을 벼 화는 곡식을 뜻합니다. 곡식을 만드는 밭을 가는 쟁기를 뜻합니다. 징개날이 날카롭기 때문에 나중에 날카롭다는 칼 도자를 쓰게 되었다. 칼은 돈과 관계가 있어서 '이익'의 뜻을 가지게 된다. 어부지리도 좋지만 서로 양보할 줄 아는 배려가 필요한 시기인 요즘이다.